목록movie (35)
혼.잣.말
주말에 본 슬픈 영화 두 편.날씨만큼이나 쓸쓸했던 두 영화.미신을 믿지 않는다.더욱이 무당은 나에겐 일종의 퍼포먼스 정도.글쎄, 그들의 색체와 행위들은 향내 지긋한 옥춘 같아 싫다.예고편을 보니 더욱 끌리지 않았으나,시놉시스를 보고야 마음이 갔다.이 영화는 다큐멘터리다. 60여명의 인터뷰와 4명의 촬영 4개월동안 124시간의 분량을 편집한 영화다.이 영화는 무서운 영화가 아니다.무당의 퍼포먼스의 이질감이나, 현재의 무속신앙의 대한 이야기가 아닌, 무당 그 삶의 이야기.특히 무당 이해경과 어린 황인희의 현세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은 가슴이 아프다.이 모든 걸 '숙명'으로 받아들이며 갈등하는 그들의 모습 안에서,'숙명'이라는 단어가 낮설게 느껴진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나는 무엇을 부정하며, 무엇을 믿고, ..
이 영화는 본질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인다.사랑, 그리고 우정.관객들의 고개가 절로 돌아갈 정도의 싸움과 욕설이 반복되는 연아와 영운의 사랑이나,경리의 안간힘에도 불구하고 끝내 아버지의금고를 들고나가 친구들과 룸싸롱에 가는 모습은바로 뛰어가 귓방망이라도 한대 후리고 싶은 생각이나, 그들만의 달콤하게 그리는 연애모습과 그 친구들의 우정은 영화내내 관객을 묘하게 동요시키는 힘을 보인다.그것은 '본질'을 건드리고 있기 때문인데,"아름다운", "애틋한", "순수한", "짜릿한", "그리운" 사랑이 아닌 "사랑" 대해 얘기하고자 노력한다."사랑"이라는것이 수많은 미디어와 매체가 만들어 낸 환상 속에 포장되고 덧 씌워져 "사랑의 공식"이 생기고,타인과 어긋나기라도 하면"사랑"의 대하여 일깨워주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평범함의 가치.배우들의 열연과, 그 속에서 얽혀내는 진솔함은 바로 우리들, 나 자신의 이야기.마음이 놀라고, 설레고 쓰린 영화.늠후늠후 재미있어라.이 영화 한편으로 홍상수 감독의 팬이 되버렸도다.틈나는데로 홍상수 감독의 영화를 다시 보리라 다짐.극장전,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생활의 발견, 오 수정, 강원도의 힘, 돼지가 우물의 빠진날.생각만해도 즐겁구나.
결코 잘만들지 못했던 예고편으로기대는 안했지만,화면도, 캐스팅도, 씨름에 대한 매력도 아닌 독특한 시놉시스에 끌린 것이지.하지만 영화 시작 10분만에 생각이 바뀐 것.잔잔하게 그리고 흥미롭게 진행되는 화면과,동구아빠, 엄마, 친구, 씨름부 감독, 일본어 선생의 탄탄한 조연,그리고 기대이상으로 흥미진진했던 씨름 장면들은 이 영화 속에 맛있게 버무려 졌더군.허나 이 영화의 진짜 매력은, "사랑" 아닐까.'뭐가 되고 싶은게 아니라 살고 싶다' 던 동구의 자신을 사랑하는 모습과 그를 이해는 주변사람들의 따뜻한 사랑으로 어우러지는 모습을 잔잔한 감동으로 이끌어내는데,동구를 '타'의 시각이 아닌, 자신과 나 우리들의 모습으로 풀어내는 감독의 역량의 박수를.나는 왜 이영화를 보며,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가 생각 났..
주말에 보게 된 두 편의 차(Car)이야기.픽사의 야심작 Car.이 영화를 보며, 잘난 독고다이 인생보다, 부족하지만 함께 할 수 있는 팀웍이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고,패스트 & 퓨리어스 도쿄 드리프트.이 영화를 보며, 카 튜닝의 세계에 빠지면, 인생 망친다는 점을 배웠다.하고 싶은 말이 많은 영화와 보여주고 싶은게 많은 영화.
살아가면서 본 가슴이 답답한 영화 베스트.2001나쁜남자, 김기덕2001년도 당시 냉렬한 비판을 받으며, 상영되었던 영화.신선하고 파격적인 소재로 화제가 되었지 아마.그때 그 당시 어린 나이에, 보는 내내 가슴이 왜이리 답답했던지, 이런 류의 영화를 본적이 없기에 경악은 두배. 고통은 세배.한 여자의 인생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며, 가슴을 부여잡았던 기억이 생생.2002 복수는 나의 것, 박찬욱박찬욱 감독의 복수 시리즈의 첫번 째 작품.신하균, 송강호, 배두나의 이어지는 복수, 파멸, 파괴.얽히고 ?霞瘠〈 실타래쏙에 점점 파국으로 치닫는 복수이야기는,영화가 끝나는내내 가슴 한편을 무겁게 했던 기억.2006 사생결단, 최호끝없는 밑바닥 인생을 거니는 마약판매상과, 악랄한 형사의 이야기.사회의 이면을 여과없이..
시작하기 전부터, 호평 받지못할 건 예상되는 일.예매율은 높지만, 평점은 낮다.스타들로 중무장한 구태의연한 러브스토리에 무엇을 기대하는가.시작한지 5분만에 이 영화의 전반 스토리를 알 수 있는 진부한 스토리지만,전지현은 이쁘고, 정우성은 멋지지 않은가. (이성재는 좀.. 홀리데이때문에 살을 너무 뺏나)나름 감각정인 영상과, 올로케이션 치고 몇 씬 안나오는 네덜란드의 정취도 멋진 것.데이지를 보는 비결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영화 내내 클로우즈업 된 전지현의 주근깨까지,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하며. 데이지, 데이지 OST
시작하기 전부터, 호평 받지못할 건 예상되는 일.예매율은 높지만, 평점은 낮다.스타들로 중무장한 구태의연한 러브스토리에 무엇을 기대하는가.시작한지 5분만에 이 영화의 전반 스토리를 알 수 있는 진부한 스토리지만,전지현은 이쁘고, 정우성은 멋지지 않은가. (이성재는 좀.. 홀리데이때문에 살을 너무 뺏나)나름 감각정인 영상과, 올로케이션 치고 몇 씬 안나오는 네덜란드의 정취도 멋진 것.데이지를 보는 비결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영화 내내 클로우즈업 된 전지현의 주근깨까지,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하며. 데이지, 데이지 OST
이제 영화사의제법 큰마케팅 프로모션덕분에, 사람들은개봉 전 한번 씩은제목 정도는 듣는다. 그리고 그들은 제목과 한줄의 카피와 포스터를 보면서영화에 대해 생각한다.'아야하고 재밌겠는데'줄거리를 알지 못하더라도 몇몇의 단서로 추측하고, 찌라시 기사로 확신한다."주말에 저거 보자"관람객은Needs를가진다.즉, 영화가 흥행하기 위해서는.1. 관람객의 Needs를 충족시키던가, 2.기대 없던(작던) Needs를 넘어서면 흥행이 되게 마련.종종, 관객의 Needs와 멀어진 듯한 영화를 보면 씁슬한 기분을 느끼는데,최근의 영화는 바로 이 음란 서생.참신한 스토리로 개봉 전에 많은 관심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감독의 지나친 욕심. 즉 두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는데서 문제는 시작.최근 한국 영화에 이런경우가 많아씁쓸하다...
이제 영화사의제법 큰마케팅 프로모션덕분에, 사람들은개봉 전 한번 씩은제목 정도는 듣는다. 그리고 그들은 제목과 한줄의 카피와 포스터를 보면서영화에 대해 생각한다.'아야하고 재밌겠는데'줄거리를 알지 못하더라도 몇몇의 단서로 추측하고, 찌라시 기사로 확신한다."주말에 저거 보자"관람객은Needs를가진다.즉, 영화가 흥행하기 위해서는.1. 관람객의 Needs를 충족시키던가, 2.기대 없던(작던) Needs를 넘어서면 흥행이 되게 마련.종종, 관객의 Needs와 멀어진 듯한 영화를 보면 씁슬한 기분을 느끼는데,최근의 영화는 바로 이 음란 서생.참신한 스토리로 개봉 전에 많은 관심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감독의 지나친 욕심. 즉 두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는데서 문제는 시작.최근 한국 영화에 이런경우가 많아씁쓸하다...